NV1

엔비디아 NV1 / STG2000
출시일1995년
코드명NV1
API 지원
Direct3D없음
역사
다음RIVA 128
Diamond EDGE 3D 2120

엔비디아 NV1(Nvidia NV1)은 SGS-THOMSON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STG-2000이라는 모델 이름으로 제조한 것으로, 1995년에 멀티미디어 PCI 카드로 출시되어 EDGE 게임즈 라이선스 하의 다이아몬드 Edge 3D로 소매품으로 팔렸다. 2차 방정식 텍스처 매핑 기반의 완전한 2차원/3차원 그래픽스 코어, VRAM, FPM 디램 메모리, 통합 32채널 350 MIPS 재생 전용 사운드 카드, 세가 새턴 호환 조이패드 포트를 제공한다. 이와 비슷하게, 2차원 그래픽스 카드, 사운드 블라스터 호환 오디오 솔루션, 15핀 조이스틱 포트를 대체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기도 하다.

일부 세가 새턴 게임들이 PC 상의 NV1용으로 변환되었다. (팬저 드라군, 버추얼 파이터 리믹스 등)

NV1의 가장 큰 문제는 비용과 전반적인 품질이었다. 미더운 3차원 성능을 제공하였으나 일반적인 폴리곤 렌더링과 매우 달랐다. 카드의 오디오 부분의 품질은 리뷰 등을 통해 의심을 받았으며 일반 MIDI 품질의 반응이 늦는 경우가 있었다.

마이크로소프트사가 폴리곤 렌더링 기반의 다이렉트X 규격을 발표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시장의 관심은 빠르게 수그러들었다. NV1은 이 규격과 호환되지 않았으나 엔비디아는 제한된 Direct3D 지원을 제공하였다. 그럼에도 속도가 느렸고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버그 투성이었으며 시장에 팔리는 네이티브 폴리곤 하드웨어와 경쟁하지 못하였다.

2차 방정식에 관련한 개발은 NV2가 그 뒤를 이었다.

사양

  • 비디오 메모리: FPM 디램 (1/2MB) / 듀얼 포트 디램 (2/4MB)
  • 메모리 클럭 속도: 75MHz
  • 램댁 135MHz (FPM 디램) / 170MHz (듀얼 포트 디램)
  • PCI 버스 인터페이스

NV1 지원 3차원 게임

참조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NV1
  • “EDGE® 3D 3000 Series”. Diamond Multimedia. 1996년 1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15일에 확인함. 
  • Thomas Monk (2006년 12월 26일). “7 Years of Graphics”. accelenation.com. 2008년 6월 15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Alan Dang (2001년 2월 16일). “NVIDIA NV2 Report—1995: The launch of the NV1”. FiringSquad. 2008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15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v
  • t
  • e
고정 픽셀 파이프라인
지포스 이전
버텍스픽셀 셰이더
통합 셰이더
통합 셰이더 & NUMA
레이 트레이싱
소프트웨어 및 기술
멀티미디어 가속
소프트웨어
  • Cg (셰이딩 언어)
  • CUDA
  • 젤라토 (오프라인 렌더러)
  • 엔비디아 게임웍스
    • OptiX (레이 트레이싱 API)
    • PhysX (물리 엔진 SDK)
  • 엔비디아 RTX (레이 트레이싱 플랫폼)
  • 엔비디아 시스템 도구
  • VDPAU (비디오 디코딩 API)
기술
GPU 마이크로아키텍처
  • 파렌하이트
  • 셀시우스
  • 켈빈
  • 랭킨
  • 큐리
  • 테슬라
  • 페르미
  • 케플러
  • 맥스웰
  • 파스칼
  • 볼타
  • 튜링
  • 암페어
  • 러브레이스
  • 호퍼
기타 제품
그래픽 처리
GPGPU
콘솔 구성 요소
엔비디아 실드
SoC 및 임베디드
CPU
  • 프로젝트 덴버
컴퓨터 칩셋
회사
핵심 인물
인수
이 글은 컴퓨터 하드웨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